; 07 / 19 통화 유가 지수 채권 골드 마감 시 > 자유게시판 | 해외선물 해선커뮤니티
07 / 19 통화 유가 지수 채권 골드 마감 시
작성자 엘레강스강
" 골디락스 낙관론, 투심을 자극 "

 

나스닥 선물 15948.25(+0.68%)
크루드 오일 75.81(+2.24%)
금 선물 1982.5(+1.33%)
NDF 1262.65

 

■통화
- 글로벌 달러는 미국의 소매판매 지수가 둔화 조짐을 보였음에도 아직은 견조한 것으로 해석되면서 소폭 상승
- 최근 이어진 경제지표가 이번 달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린 뒤 연말까지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기대감을 자극하면서 달러화 상승 제한
- 이에 전일보다 달러화(DX)가 소폭 반등했으나 여전히 100 달러 선을 하회

 

■지수
- 美 3대 지수 선물은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감에 일제히 상승
- 미국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소비판매가 증가세(+0.2%)를 보였으나, 예상치(+0.5%)를 밑돈 점이 연준의 긴축 사이클이 곧 끝날 것이라는 기대감을 더 증폭
- 다만, 일각에서는 여전히 하반기 전망이 불확실하다는 우려가 부상했으나, 뱅크 오브 아메리카(BoA)을 비롯한 금융주가 모두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 발표에 투자심리 자극 (NQ +0.68%, ES +0.64%, YM +1.04%)

 

■유가
- 국제유가는 소매판매가 예상보다 부진했으나,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상승
- 이에 골디락스 경제가 지속되고 있다는 기대감이 지지를 받으면서 유가에 긍정적으로 작용
- 다만, 최근 부진한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유가 상승세 제한 

 

■골드
- 금 선물은 부진한 소매지표가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감을 확대시키면서 급등함 
- 최근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가 부상하면서 달러화가 약세 흐름을 보이고, 국채 수익률도 하락세 전환하면서 금 가격을 지지

 

■채권
- 美 국채 수익률은 개선된 경제지표에 골디락스 기대감이 부상하면서 혼조세
- 미국 CPI가 하락한데 이어 이날 캐나다도 6월 CPI가 2년여 만에 2%대로 복귀
- 또한 미 경제지표에서 인플레이션 완화 조짐에 대한 기대가 반영되면서 채권 매수세가 우위를 보이며 수익률 압박
- 다만, 주택 지표는 호조를 보이면서 다음 주(07/27 03:00) FOMC 금리인상이 확실시되는 양상
-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물 수익률은 +2.14bp 상승한 4.7638%, 10년 물 국채 수익률은 -2.15bp 하락한 3.7902%를 기록함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총 게시물 5,843 개, 페이지 140 글쓰기
제목 작성자
화폐가치가점점떨어지겠네 (1) H rr*
ai 자동매매있다는데 어때요? (1) H 화정
포지션공개 H 레이*
항셍아 그만내려가 ㅡㅡ H 호정*
포지션나온거잇나요?? (1) H 채채
★오늘의 여자★ H qu*
오늘도물리면한강간다 H 말보*
한달에 1억 찍을수있을까.. (2) H 고색*
타점만잘잡으면무조건수익 !!! H 희희*
날도좋은데 여행이나가야겠다 H cc*
오늘의포지션 (1) H 쭈쭈*
항셍이거중독이다 H 화정*
반대포지션잘못잡았네 ㅡㅡ H 서래*
항셍 풀매도 갈사람~~~~ (2) H 부장*
오일이 날 조롱하네 ㅋㅋㅋ (1) H 포포*
게시물 검색